전라남도의회 전서현 도의원 “여순사건 직권조사, 완도 넘어 전남 전역으로 확대해야

유족 고령화로 시간과의 싸움… 피해 정황·기록자료 발굴 위한 도 차원의 적극적 기획 필요

윤창훈 기자
2025년 07월 18일(금) 11:54
전라남도의회 전서현 도의원
[호남미디어협의회]전라남도의회 전서현 의원(국민의힘, 비례)은 지난 7월 16일 열린 여순사건지원단 업무보고에서 “이번 완도지역 직권조사는 전남도 차원에서 처음 추진되는 상징적 사례로, 앞으로 전남 전역으로 확대되어야 한다”며 “유족의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는 만큼, 시간에 쫓기는 진상규명이 되지 않도록 도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 의원은 “완도 직권조사는 여순사건 특별법에 따라 도내에서 처음 시행되는 사례로, 제도적·역사적 의미가 크다”며 “조사 과정에서 자료 부족, 유족 접근 등의 실무적 어려움은 없었는지, 향후 다른 시군으로의 직권조사 확대 계획이 있는지”를 질의했다.

이에 대해 여순사건지원단 이길용 단장은 “현재 완도지역은 TF를 구성해 조사가 진행 중이며, 면사무소 제적등본 등을 활용해 특별한 문제 없이 추진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과거 군법회의 기록과 국가기록원 자료를 통해 2,800여 명 규모의 희생자 명단을 확보했으며, 완도는 섬 지역으로서 민간인 희생 실태를 조명할 상징적 사례로 판단돼 중앙위원회와 협의해 우선 조사 대상으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또한 이 단장은 “완도 조사를 시작으로 전남 전역은 물론 전북·경남 일부 지역까지 포함하는 총 2,867명에 대한 직권조사를 연말까지 추진할 계획이며, 신원기록편람, 대공 인적위해조사표 등 관련 자료를 통해 추가 명단을 발굴할 예정이다”고 덧붙였다.

전 의원은 “여순사건의 진상은 특정 지역의 문제가 아니라 전남 전역에 걸친 역사적 과제”라며, “기록 중심 조사에는 한계가 있는 만큼 유족의 목소리를 경청하고, 피해 정황을 사전에 파악할 수 있는 도 차원의 기초조사와 적극적인 행정적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동부권을 넘어 서부권과 섬 지역 등 상대적으로 소외된 지역까지 조사 범위를 넓혀, 이번 완도 사례가 전남 전체 직권조사의 출발점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윤창훈 기자
이 기사는 호남미디어협의회 홈페이지(honamed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honamedu.co.kr/article.php?aid=14084162432
프린트 시간 : 2025년 07월 18일 22:4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