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의회 김정이 도의원, “전남 교육, 태블릿보다 콘텐츠가 먼저”… 온라인 학습 대전환 촉구
검색 입력폼
고흥

전라남도의회 김정이 도의원, “전남 교육, 태블릿보다 콘텐츠가 먼저”… 온라인 학습 대전환 촉구

- 사교육비 전국 최저는 자랑 아냐… 못하는 현실이 학령인구 유출 부추겨

전라남도의회 김정이 도의원
[호남미디어협의회]태블릿은 쌓였고, 플랫폼은 멈췄다. 전남 디지털 교육의 시계는 왜 멈췄을까.

전라남도의회 김정이 의원(더불어민주당, 순천8)은 지난 7월 21일 제392회 임시회 도정 및 교육행정 질문에서 “태블릿 PC는 학교마다 널리 보급되고 있지만, 정작 중요한 온라인 학습 플랫폼(J-MOOC)은 학생들이 체감할 만한 성과 없이 운영이 지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전남형 온라인 학습 플랫폼 J-MOOC는 3년 전부터 추진했지만, 지금 2025년이 되어도 학생들이 현장에서 체감하지 못하고 있고, 계획만 세우고 실제 이행은 못 한 채, 이제는 타 시도 교육청과 함께 공동 개발하겠다는 말만 반복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전남 학생들은 학원이 적어서 사교육을 받고 싶어도 선택이 쉽지 않다”며 “공교육이든 사교육이든, EBS나 민간 인터넷 강의 등 원하는 것을 자유롭게 고를 수 있게 학습 선택권을 넓혀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전남교육청의 태블릿 PC 보급 사업은 800억 원 넘게 태블릿 PC를 보급했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활용률이 5% 내외에 불과하고, 박스째 쌓여 방치되는 등 콘텐츠 개발과 활용 환경 개선이 더 시급하다는 의견이 이어지고 있다.

김대중 교육감은 “J-MOOC 온라인 학습 플랫폼은 3년 전부터 준비해 왔지만, 교육청 단독으로는 역량이 부족해 현재는 타 시도 교육청과 공동 개발을 검토하고 있다”며 “콘텐츠가 아직 충분하지 않은 점은 앞으로 현장의 의견을 반영해, 실제로 학생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온라인 학습 환경을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답했다.

김정이 의원은 “수백억 원을 들이지 않더라도, 학생 눈높이에 맞춘 온라인 강의와 대학생 멘토링을 결합하면 30억 원만으로도 전남 학생 모두가 원하는 학습 환경을 만들 수 있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교육청이 사교육비가 전국에서 가장 낮다고 자랑할 일이 아니라, 우리 아이들이 선택조차 못 하는 교육 현실이 결국 학령인구 유출을 부추기고 있다”며 “더 늦기 전에 정말 필요한 콘텐츠와 학습 환경에 예산을 집중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강미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