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건의안을 발의한 강재헌 환경복지위원장은 제안설명을 통해 “지방정부는 다양한 행정 서비스를 책임지고 있음에도, 여전히 세입 구조는 중앙정부에 편중되어 있다”며 “국가산업단지를 보유한 지자체는 환경관리·교통망 확충·복지 등 막대한 인프라 부담을 지고 있는 만큼, 국세 일부를 해당 지역에 환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 의원에 따르면, 실제 여수국가산단에서 납부된 국세는 2022년 2조 7천억 원, 2023년 2조 5천억 원에 달하는 반면, 같은 해 지방세 수입은 각각 1,896억 원과 1,940억 원으로 국세의 약 7% 수준에 불과하다.
여수시의회는 지방정부의 실질적인 재정 자율성과 지역 균형발전을 위한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고 판단하고, 정부에 세 가지 방향의 조치를 강력히 촉구했다.
우선, 국세와 지방세의 비율을 현재의 7대 3 구조에서 벗어나 단계적으로 6대 4까지 조정하고, 장기적으로는 5대 5 수준까지 확대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재정분권 계획을 즉각 추진할 것을 요구했다.
또한, 여수시처럼 국가산업단지가 위치한 지역의 경우, 해당 지역에서 발생한 국세의 10% 이상을 지방세로 전환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하고, 이를 통해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과 지역 상생발전이 실현될 수 있도록 특단의 조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지방세 신설과 확대, 지방교부세 제도 개선, 지역자원시설세 및 지방소비세 확대, 국고보조금 제도 정비 등 재정분권 강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도 조속히 정비할 것을 촉구했다.
강재헌 의원은 “지방정부가 지역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자율권을 부여하는 것이 진정한 자치의 출발점”이라며 “앞으로도 자율적이고 책임 있는 지방자치 실현을 위해 적극적인 정책 대응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이종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