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필순 광주광역시의원, 광주 싱크홀 원인 1위는 ‘하수도’
검색 입력폼
전북

박필순 광주광역시의원, 광주 싱크홀 원인 1위는 ‘하수도’

2025 광주광역시 지하안전관리계획 분석 결과

박필순 광주광역시의원, 광주 싱크홀 원인 1위는 ‘하수도’
[호남미디어협의회]광주광역시의회 박필순 의원(광산구3)은 23일 “광주의 싱크홀(지반침하) 발생 원인의 절반 이상이 하수시설 손상에 기인하며, 지하시설물의 노후화가 싱크홀 증가의 핵심 배경”이라고 밝혔다.

박 의원이 광주시로부터 제출받은 ‘2025년 광주광역시 지하안전관리계획’에 따르면, 광주지역은 자연적 싱크홀보다 지하시설물을 원인으로 싱크홀이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2020~2024) 광주에서 발생한 싱크홀 107건 중 69건(64.4%)이 하수시설이 원인이 돼 발생했다.

특히 2020년에는 역대 최장기간 장마와 집중호우로 인해 55건의 하수관 유발 싱크홀이 집중 발생했다.

광주 지하시설물 노후화도 심각한 상황이다.

2024년 기준, 상수도는 총 연장 4,117km 중 2,186km(53%)가 20년 이상 된 노후관이며, 30년 이상은 805km(19.5%)에 달한다.

하수도는 총 연장 4,570km 중 3,006km(65%)가 20년 이상 노후됐다.

또한 광주지역 지반 특성도 싱크홀 발생에 취약한 지역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반층이 주를 이루는 기저지반 외에도 영산강과 광주천 인근에는 실트·모래·자갈 등 불균질 지층이 분포해, 지반 침하에 취약한 지역이 다수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필순 의원은 “정부의 중점 과제 중 하나는 지자체 중심의 지하시설물 관리체계 구축”이라며 “광주는 도시철도 2호선, 향후 광천상무선 같은 대규모 지하공사가 병행되는 만큼, 광주시가 지하안전 관리의 콘트롤타워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하수시설은 단일 원인 중 비중이 가장 높은 만큼, 장기적 플랜에 따라 집중 점검 및 구조개선을 서두르고, 대형 사고 원인이 되는 지하공사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며 “단기 복구 위주의 대응을 넘어서, 지속 가능한 도시안전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광주광역시 지하안전관리계획은 지하안전법에 따라 지자체가 수립하는 법정계획이다.

광주시는 ‘광주, 대한민국 제일의 지하안전’을 비전으로 △지반침하 발생율 전년대비 10% 감축 △지하시설물 안전관리 통합체계 구축 △지하안전 예방체계 마련 등을 주요 목표로 하고 있다.
윤창훈 기자